클라우드 꼭 해야 하나?

클라우드 바람이 불고 있다.  개발자나 DBA 입장에서는 서버를 빌려쓰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전통적인 시스템 운영자에게는 그 이상이다.    클라우드를  도입시 고려해야 되는 상황과 시장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미국은 클라우드 전환 율이 5:5 이지만 한국은 이제 8:2 -> 7:3으로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혹자는 낮은 클라우드 전환 율이 해외에 비해 경쟁력이 없다, 뒤쳐지고 있다 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엄격하게 말하면, 이러한 상황은  한국 시장의 특성때문에 그렇다. 미국,중국은 내국 서비스라고 해도 미국 전역에 서비스를 배포해야 한다.   개별 IDC 업체들을 돌아가며 IDC 특성에 맞추어가며 배포하는 것보다, AWS, Azure, GCE와 같은 글로벌 밴더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운영 배포하는 것이 유지보수가 훨씬 쉽기 때문에,  미국, 중국 전역 또는 글로벌한 서비스들은  클라우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 한국은 중견 기업 이상급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오픈 스택, Private Cloud 도입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글로벌에 나갈때는  멀티 리전, 멀티 존에 대한 운영이나 경험들에 대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며, 이러한 경험을 가진 인력을 구하기는 쉽지 않다.

클라우드는 공유 제한

cloud instance

그림 1. 클라우드는 공유자원

개발자, 운영자 DBA가 클라우드가 가져오는 가장 큰 제약은 클라우드는 공유자원이라는 것이다. 하나의 머신에, 가상화된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올려 놓은 것이다.   즉 다시 말하자면, 우리는 공유자원을 빌려 쓰는 것이므로 오늘 잘 동작한다고 해서 내일 잘 동작한다는 것을 보장할수 없다.

iops queue length.png

그림 2. 클라우드 장애의 단골 손님 –  IOPS 부족 문제

국내 서비스중인  안정적인 게임이 중국에 클라우드에서 배포되고 나서 발생한 장애사례이다. 한국에서는 실제 물리서버에서 배포를 했었는데, 중국 진출 후 클라우드를 처음 도입하였다.   그런데 두개의 리전에 로그인 서비스를 배포 했는데, 특정 시간대에 한쪽 리전에서만 계속 로그인이 제대로 되지 않아 튕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장애시 개발팀은 이미 몇 년동안 검증된 로직인데, 원인을 찾기 힘들어 했었고, 문의가 들어와 확인을 해보니 클라우드 인프라의 문제였다.  바로 클라우드에 가장 장애로 많이 이어지는 IOPS (초당 발생하는 IO) 가 대표적인 예이다.  위 그림을 보면 IOPS가 초당 250으로 제한이 되어있는 것처럼 볼수 있으며, 실제 IOPS 요청에 비해 부하가 반영이 되지 않아 Write Queue에 요청이 쌓여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을까? 앞서 언급한 것 처럼 클라우드는 공유자원이다.   즉 하나의 Host 머신에서 우리 서비스 이외에 다른 서비스들도 입점 할수  있으며,이 서비스가 특정 시간마다 과도한 자원을 사용한다면 (IO가 많이 필요한 배치 작업을 돌린다면), 우리 서비스에 영향을 줄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존 서비스를 쾌적한 다른 존으로 배치하고 나서 장애는 해결되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