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금요일 저녁에 강남에서 패턴 세미나를 엽니다.
이광춘 님과 친한 태호형이 힘을 다해 운영하고 있는 미래의 소프트웨어 품질 연구회라는 커뮤니티로, 좋은 강사들을 섭외해서 매 달마다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네요. 좋은 강사의 자격(?)은 의심되지만, 부족하나마 저의 지식을 공유할려고 합니다.
- 주최 : 미래의 소프트웨어품질 연구회(미소연), DigiEco
- 일시 : 2009년 10월 23일(금), 오후 7시30분- (세미나는 1시간 30분 예정)
- 장소 : 토즈 강남대로점 (교보사거리 위치)
- 주제 : 미워도 다시 보는 패턴 이야기 / PLOP 학회 참석 후기
이번 행사는 Pattern에 대한 올바른 시선과 학습법을 제공해 드리고, PLoP에 대한 공유도 약간 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Do Food 패턴의 일환으로 약간의 음식(도넛 or 김밥) 도 무료로 제공되니, 금요일 약속이 없으시다면 방문해 주세요 🙂
Fearless Change 두번째 장에서는 조직 변화를 위한 패턴들을 소개하지 않고, 원론적인 이야기인 패턴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패턴을 보아야 하는지 설명를 하고 있습니다.
Pattern을 아시는 분이라면 뭐 이정도야 하고 말씀하실 수 있겠지만, Linda의 Pattern에 대한 철학 ,노력, 패턴 Template의 발전 과정등을 설명해 놓아서, 흥미있게 읽었습니다. (저만 흥미로운 걸수도 있습니다… ). 특히 패턴을 읽는 것이 아닌 패턴을 만들어 본 경험이 있는 저에게는요. 읽으면서 PLoP BootCamp 때가 많이 생각나더군요.
Fearless change가 설명하고 있는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 패턴이 아니라, 조직 구조와 관련된 패턴이라는 점을 유의해서 읽어 주세요. 물론 비슷한 면도 많지만요.
저희 Eva팀이 드디어 두 번째 프로젝트인 “97 things every software architect should know (가제 – 모든 아키텍트라면 알아야 할 97가지 이야기)” 에 대한 1차 번역을 마쳤습니다.
2 달만에 번역하기 프로젝트를 시도했지만, 예상외로 아키텍트 특유의 고급적인 문체, 시와 같이 운율을 살리는 비유, 해당 도메인의 지식 부재등으로 약간의 난전을 겪었습니다.
그래서 3달 만에 1차 번역이 마치게 되었네요. 내부적으로 1차 리뷰를 마치고 출판사에 맡겼지만 아직 손봐야 할 것이 여러군 데 있는 건 사실입니다. 어느정도 책의 형태가 나오면 베타리더를 모아 더 다듬어야 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