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배우면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쓸 고객에 대해서 정말 고민한적이 있나요? 이 소프트웨어는 이러 이러한 것들을 제공하기때문에, 정말 좋아요. 라고 컴퓨터를 모르는 사용자가 알아들을 수 있게 가치를 설정하고 전달하도록 고민해 본적이 있을까요? 아마 우리는 공돌이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몰라도 된다고 위안을 삼고 싶겠지만, 여실하게 대기업에서도 전 이 문제점과 부딪혔습니다.
실제 고객을 한번도 만나보지 않고 기획이나 UX팀에서 날라온 공급자 중심의 설계, 그리고 고객들의 불만을 대응하기 위해 일정에 쫓겨가며 헐레벌떡 기능을 구현하게 만들고, QA팀과 이건 버그가 아니다라고 실강이 한 기억들이 납니다. 저의 고객은 임원인 경우가 많죠.
사실 저도 이러한 부분과 거리가 멀었고,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과정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알람몬을 만든 김영호 사장님이나, Sleep if you can의 신재명군과 같이 그들이 얼마나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가며, 그리고 사업적으로 살아남기 위해 여기 저기 뛰어나닐수 밖에 없는 모습을 보며, ” 나는 저 나이에 저런 열정이 있었나?” 라며 되돌아 보게 됩니다. (이 친구들과 같이 한 정부 과제가 있는데 그중 일부가 여기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NHN NEXT의 휴먼 디자인 프로젝트나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과정은 비록 리얼 월드는 아니지만, 최대한 그것에 가깝게 갈려고 많은 교수님들과 멘토님들이 날카롭게 질문을 합니다. (아무리 가깝게 할려고 해도 자기돈으로 하는 사업이 아니니 리얼월드가 아닌점은 사실이구요. 하지만 노력을 많이 가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 주셨으면 합니다.)
기술을 학습하기 위해 억지로 만든 프로젝트가 아닌. 사용자에게 줄수 있는 핵심 가치(우리 프로젝트의 가치)가 무엇이고, 그걸 어떻게 찾아가는지에 대해서 많은 협의및 고민을 합니다. SK 컴즈 CEO 셨던 주형철 부학장님이나, 저와 많은 코웍을 하시는 장선진 멘토님에게 전혀 다른 두가지 입장 (거대한 기업을 이끌었던 경험과, 스타트업에서 정말 얻는 고충)들을 곁에서 많으 조언과 코치를 받았습니다.
평가 시즌을 거치면서 우리가 만든 소프트웨어의 가치는 무엇이고, 이 가치를 팀원 모두가 잘 공유하고 있고, 이게 프로젝트가 끝날때 까지 잘 유지되어서, 핵심 가치를 잘 전달할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될수 있을까? 에 대한 고민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 상품기획, 개발자, 디자이너 성향을 가진 종합 예술인(?) 분을 모셔서 어렵게 코칭을 받았습니다.
그 과정을 어떻게 하나 하나 진행했는지를 이번 포스트에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소마에 과정의 예산으로 한 것이라, 당연히 외부에 공유가 되어야 할거고, 지금 NHNNEXT 학생들도 이 주제에 대해서 크게 고민을 하고 있을거 같아 적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