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트로서 성장하기 위한 길은 막막하게 느껴지곤 한다. 누구에게 아키텍트로서 가야 하는 길을 물어야 할 것인가? 산전수전 다 겪은 나이가 지긋한 아키텍트로 활동 중인 사람을 만나기란 하늘의 별따기다. 따라서 필자는 업계 최고의 아키텍트들의 조언을 모아 가상의 인터뷰를 진행해 봤다. 이 인터뷰의 내용은 필자가 PLoP라는 패턴학회에서 만난 해외 거장들과의 토론과 조만간 출간될 번역서인 『아키텍트가 알아야 할 97가지』의 내용을 모아 만들었다.


손영수 안녕하십니까? 여러 선배님들. 아직 ‘Architecture’의 ‘A’자도 깨우치지 못했지만, 여러 선배님들에게 아키텍트로 성장하기 위한 방법과 또 아키텍트로서 올바른 아키텍처를 바라보는 방법들을 여쭤 보고자 합니다. 많은 이들이 궁금해 하는 질문일텐데, 여러 선배님들처럼 훌륭한 아키텍트가 되기 위해선 어떠한 것들을 준비해야 할까요? 실제 현업에서 아키텍팅할 때 어떠한 부분을 고려해야 할지 여러분들의 얘기를 듣고 싶습니다.

계속 읽기

dave quick범위는 프로젝트의 크기를 언급합니다.

얼마나 많은 시간, 노력, 자원들이 필요한가?. 어떤 수준의 품질에서 어떤 기능성을 가지는지? 얼마나 많은 위험이 있는지? 어떠한 제약이 존재하는지? 이에 대한 대답들이 프로젝트의 범위를 정의합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들은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것을 사랑합니다. 잠재적인 보상은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프로젝트 외관상의 중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로젝트의 범위를 인위적으로 확장하게 유혹할 수 있습니다.

범위를 확장하는 것은 성공의 적입니다, 왜냐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빨리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의 범위를 2배로 증가시키는 것은 종종 실패의 가능성을 10배로 높입니다. 왜 이렇게 실패 가능성이 높아질까요? 몇 가지 예 들을 살펴봅시다.

직감은 일을 두 배로 일을 하기 위해 우리의 시간이나 자원을 두 배로 늘리라고 말합니다.

역사[1]는 ,직관이 제안했던 것처럼,  미치는 영향이 선형적으로 증가(두배로 일하기 위해 미치는 영향이 단시 시간과 자원을 두배로늘리는 것)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나 네 명의 팀은 두 명의 팀이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보다 2배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들것입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