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아키텍팅 강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및 평가 기법, 그리고 부하테스트/ 성능 최적화에 대한 강의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는 말그대로 진행은 하면 되지만, 결국 많은 설계 기법을 알지 못하면 좋은 설계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2022년에 다음과 같은 강좌 들을 진행했습니다. 강의를 하다보면서, 아직 많은 교재들이 디자인패턴에 지식이 머물러있고, 몇몇 […]

일전에 약속을 드렸던 것처럼 Fault Tolerance 패턴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고 가용성이라는 것이 서버쪽에서는 동일한 요소를 두개 주는 이중화라는 기법으로 확보가 가능하지만, 자동차나 프론트엔드, 모바일쪽에서는 이중화 전략을 쓰기에는 한계가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과정을 준비하면서 만든 자료입니다. 저 역시 많은 선배님들의 지식을 가지고 성장했던 것처럼, 이 자료가 많은 동료와 후배분 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며 합니다. pdf로 […]

제가 패턴학회에 이사회 맴버로 있고, 저에게 가르침과 영향을 많이 주신 두분이 계십니다. 한 분은 유연하면서도, 지혜로운 삶을 사는 자세를 가르쳐 주신 Linda Rising 이시고, 또 한분은 AT&T에서 네트워크 스위치 개발을 시작으로, 오랫동안 Fault Tolerant 패턴을 정리해 주신 Robert S. Hanmer 님입니다. Bob Hanmer 님은 요즘 외부 활동을 잠시 쉬고 계시지만 이 분의 여러가지 노력들을 아래와 […]

bobPLoP에서 수많은 거장들을 만났습니다. 거장들중 우리나라에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분들을 하나씩 소개할려고 합니다.   왜냐면 이들의 연구분야들을 하나씩 소개하는 것이 어떤 분들에게는 귀중한 정보다 될것이고, 많은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Robert Hanmer씨는 이번에 저희 Half-Push/Half-Polling 패턴의 목자 (Shepherd) 이셨습니다. (PLoP에서는 패턴을 제출하면 완성도 있는 패턴을 한번 거른다음, 각 패턴다마 패턴을 잘 쓸수 있게 목자(멘토)를 지정해 줍니다. 그럼 목자와 함께 계속 애기를 나누면서, 패턴들을 수정해 나가는 거죠. 그 이후 저자 워크샾을 통해 한번 더 다듬게 되고, 최종 논문이 완성됩니다.)

PLoP의 BootCamp를 수년간 Linda Rising과 이끌고 있었고, 상당히 부드럽고 배려심이 많으신 분입니다. 이하 Bob 아저씨(Robert를 다 Bob이라고 부릅니다)는 현재 Alcatel-Lucent (Lecent Technolgies and AT&T)라는 Telecomunication 회사에서 Consulting Member로  근무중이며,  고 수준의 가용성(availiability)를 보장하는 시스템을 꾸준히 만들어 오셨습니다.

이러한 패턴들은 고수준의 품질을 요구하는 제조업과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국내 제조업에 종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상당히 도움이 될만한 서적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인사이트에서 판권을 확보하고 현재 번역중이라고 하니 조만간 번역서를 만나 보실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