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약속을 드렸던 것처럼 Fault Tolerance 패턴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고 가용성이라는 것이 서버쪽에서는 동일한 요소를 두개 주는 이중화라는 기법으로 확보가 가능하지만, 자동차나 프론트엔드, 모바일쪽에서는 이중화 전략을 쓰기에는 한계가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과정을 준비하면서 만든 자료입니다. 저 역시 많은 선배님들의 지식을 가지고 성장했던 것처럼, 이 자료가 많은 동료와 후배분 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며 합니다. pdf로 […]

[1]이 글에서는 Uber와 같은 택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아키텍처 및 시스템 설계에 대해 배워보고자 합니다. Uber 애플리케이션에서 탑승자(CAB를 원하는 사람)가 앱에서 드라이버를 요청하면 해당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해 드라이버가 이동합니다. 이면에는 여행을 지원하는 1,000대의 서버가 있으며 여행에 테라바이트의 데이터가 사용되었습니다. Uber 회사가 시작되었을 때 그들은 단순한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를 가졌습니다. 백엔드 서비스, 프런트 엔드 서비스 및 데이터베이스가 있었습니다. […]

저자 : Robert Armstrong / Netflix 파트너 엔지니어 Netflix는 수백만 개의 셋톱 박스, 스마트 TV, 스트리밍 스틱 및 기타 가전 기기에서 사용 중입니다. Netflix의 DRE(Device Reliability Engineering/디바이스 신뢰성 엔지니어링) 팀은 엄격한 초기 인증 과정을 거쳐 (위에서 언급한) 디바이스들이 수없이 많은 업데이트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고품질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보장할 책임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는 1,600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