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회 AsianPLoP이 열립니다.
가까운 도쿄에서 열리구요. 유명한 패턴 전문가 들을 초청하고, 아시아에 많은 분들과 교류를 할수 있는 좋은 행사입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좀더 협의해 봐야 겠지만, 지난 행사에는 아래 두분이 facilitator로 프로그램 전반에 참여해 주셨습니다.
- AOM (Adaptive Object Model) , Big ball of mud의 저자인 Joe Yoder
- Refactoring to Patterns의 Joshua Kerivsky
다른 분이 오실수도 있으나, 아마 거의 이급으로 오실거 같아요
또한 여기 제출하신 논문은 ACM 에 자동으로 올라가니, 참고하시구요
- 일시 : 2014년 3월 5일~8일
- 장소 : 도쿄 진보초 NII(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12/13일 미래창조부, NIPA에서 개최한 제 2회 아키텍처 실무자 컨퍼런스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저희 모바일 분과에서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 블록 2″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습니다. 실제 현업에서 활동하시는 한분 한분을 모아서 만든 자료이므로 많은 안드로이드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거리 믿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블록
어플리케이션 블록 이라는 것은? 기존 Framework들을 더 쉽게 잘 쓸수 있게 추상화 놓은 Block으로 보시면 됩니다.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거대하게 모든 기능을 다 들고 있는게 아니라, 잘 블록화 되어서, 필요한 것만 그때 가져다 쓰는 컨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에서는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해야 하므로, 어쩔수 없는 상황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Spring 프레임워크가 잘 안 쓰이는 이유도 이거죠. 덩치가 큰 편입니다.
안드로이드는 인기있는 Framework입니다. 하지만 단편화나 폐쇄적인 운영으로, 개발자를 골치아프게 하는 여러 이슈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수한 오픈소스가 존재중이며, 알람몬, Sleep if you can 을 비롯해,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여러 오픈 소스들을 모아서 정리하고 Layer별로 분류후 아키텍처와 사용 방법을 정리해 공유한 자료입니다.
같이 고생을 많이 해 주신 주윤회 님, 오유한 님, 알람몬 팀, 신재명 님 , 진성주 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