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3일 미래창조부, NIPA에서 개최한 제 2회 아키텍처 실무자 컨퍼런스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저희 모바일 분과에서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 블록 2″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습니다. 실제 현업에서 활동하시는 한분 한분을 모아서 만든 자료이므로 많은 안드로이드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거리 믿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블록

어플리케이션 블록 이라는 것은? 기존 Framework들을 더 쉽게 잘 쓸수 있게 추상화 놓은 Block으로 보시면 됩니다.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거대하게 모든 기능을 다 들고 있는게 아니라, 잘 블록화 되어서, 필요한 것만 그때 가져다 쓰는 컨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에서는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해야 하므로, 어쩔수 없는 상황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Spring 프레임워크가 잘 안 쓰이는 이유도 이거죠. 덩치가 큰 편입니다.

안드로이드는 인기있는 Framework입니다. 하지만 단편화나 폐쇄적인 운영으로, 개발자를 골치아프게 하는 여러 이슈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수한 오픈소스가 존재중이며, 알람몬, Sleep if you can 을 비롯해,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여러 오픈 소스들을 모아서 정리하고 Layer별로 분류후 아키텍처와 사용 방법을 정리해 공유한 자료입니다.

같이 고생을 많이 해 주신 주윤회 님, 오유한 님,   알람몬 팀, 신재명 님 , 진성주 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발표자료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 Opening
  • UI Block – Aquery
  • Network – Volley
  • Common – Otto
  • Testing – Robotium (monkey runner  와 비교)
  • Crash Report – UrQA  (bugsense, acra 와 비교)
  • Release Engineering  – Maven, Jenkins, Git/GitFlow/Jgitflow

각자의 오픈소스 (블록)에 대해서 왜 필요한지, 아키텍처는 어떤지, 실제 사용방법, 셋팅 방법에 대해서 올려 놓았습니다. 또한 1,2개월 내에 문서화된 자세한 버전을 추가 공개하겠습니다.   많은 분의 애용 바라며,  궁금한점은 문의 주세요..

2012년 12월 발표한 어플리케이션 블록

Join the conversation! 4 Comments

  1. stan에 대한 내용이 인상깊어서 설치해봤는데 어렵네요. 홈페이지에 있는 백서.pdf를 찬찬히 보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응답
    • 지금까지 소프트웨어 공학쪽에서 연구해온 지표들입니다. 거기서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볼지.. 판단하는데 좀 시간이 걸립니다.. 프로젝트마다 대게 세세적인 특성은 다르나.. tangeld (circualr dependency) , layer 가 제대로 되어 있나, cyclomatic complexity, robert c. martin이 주요한 지표이며.. 이것들을 가지고 더 세세하게 스탭을 밟으시면 될듯 합니다.

      응답
  2. 이런 좋은 글을 이제 보다니..
    세미나 함 해줘~

    응답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카테고리

Android, Framework, Software Architecture

태그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