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Kousik Nath의 System Design: Design a Geo-Spatial index for real-time location search을 번역한 글로, 모든 저작권은 원저작자에 있습니다. 최대한 원문을 살리려 했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의역과 역주를 사용한 곳도 있습니다.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indigoguru@gmail.com으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은 아키텍처 전략: 실시간 위치 검색을 위한 지리 공간 인덱스 설계 시리즈 첫 번째 시간으로 개요 […]

지난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아키텍팅 강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및 평가 기법, 그리고 부하테스트/ 성능 최적화에 대한 강의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는 말그대로 진행은 하면 되지만, 결국 많은 설계 기법을 알지 못하면 좋은 설계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2022년에 다음과 같은 강좌 들을 진행했습니다. 강의를 하다보면서, 아직 많은 교재들이 디자인패턴에 지식이 머물러있고, 몇몇 […]

일전에 약속을 드렸던 것처럼 Fault Tolerance 패턴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고 가용성이라는 것이 서버쪽에서는 동일한 요소를 두개 주는 이중화라는 기법으로 확보가 가능하지만, 자동차나 프론트엔드, 모바일쪽에서는 이중화 전략을 쓰기에는 한계가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과정을 준비하면서 만든 자료입니다. 저 역시 많은 선배님들의 지식을 가지고 성장했던 것처럼, 이 자료가 많은 동료와 후배분 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며 합니다. pdf로 […]

제가 패턴학회에 이사회 맴버로 있고, 저에게 가르침과 영향을 많이 주신 두분이 계십니다. 한 분은 유연하면서도, 지혜로운 삶을 사는 자세를 가르쳐 주신 Linda Rising 이시고, 또 한분은 AT&T에서 네트워크 스위치 개발을 시작으로, 오랫동안 Fault Tolerant 패턴을 정리해 주신 Robert S. Hanmer 님입니다. Bob Hanmer 님은 요즘 외부 활동을 잠시 쉬고 계시지만 이 분의 여러가지 노력들을 아래와 […]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의 길은 멀고 험난합니다. 그 와중에 조금이나마 아키텍트를 꿈꾸거나, 진입하시는 분들을 위한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미 다양한 대기업에서 강의를 했습니다. 수업의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심있는 기업 교육자 담당자 분들은 연락을 주시면 됩니다. 시간당 25만원이 아니면 강의를 하지 않습니다. 시간당 20만원의 요청이 제법있는데, 안 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수도권이 아닌 지방이라면 지식 공유를 위해 훨씬 저렴하게 […]

저자 : Robert Armstrong / Netflix 파트너 엔지니어 Netflix는 수백만 개의 셋톱 박스, 스마트 TV, 스트리밍 스틱 및 기타 가전 기기에서 사용 중입니다. Netflix의 DRE(Device Reliability Engineering/디바이스 신뢰성 엔지니어링) 팀은 엄격한 초기 인증 과정을 거쳐 (위에서 언급한) 디바이스들이 수없이 많은 업데이트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고품질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보장할 책임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는 1,600개가 […]

CPO는 제품의 향후 마일스톤을 결정하고, 어떠한 가치및 기능들을 전달할지 결정하는  역할이다.  개발자에게는 제품/상품이라는 개념이 다소 생소할수 있겠지만, 결국 우리가 만드는 SW들은 고객들에게 하나의 상품이다.  고객의 입장에서 매력적인 / 또 실제 팔릴수 있는 상품을 만들수 있게 제품 전반에 지휘권을 가지고 있는 자다.    

marshal / unmarshal  – encode / decode에 대한 go의 개념들

Marshal 이란?

구조체 또는 객체의 데이터를 json으로 byte[]로 만드는 것이 json.Marshal의 역할입니다.   여기까지는 그냥 string이며  http상에서는 문서로써 바로 전달이 가능하지요.  http상에서는 모든게 문서이니깐요 🙂

(marshalling의 원래의미 –  군대에서 준비태세를 갖추는것을 말하는 것인데, 네트워크-전쟁으로 나아가기 전에 어떤 포멧- 무기로 싸울지 준비태세를 갖추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Serialization 이란?

하지만 일정한 크기로 잘게 나누어서 물 흐르듯이  계속 보내기 위해서는 stream 형태로 전달할 필요가 있습니다.  node.js가 서버 사이드 언어이므로 최상위 객체 EventEmitter바로 밑에 stream 으로 흐르게 딱 박혀있습니다 (왜 갑자기 node.js 이야기를 하냐면 stream이 그만큼 서버 사이트 프로그래밍에 중요하다는 의미이고 node.js 도 stream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기본 골격이라는 의미입니다)

 

golang에서는 Encode  (Serialization) 라 불러주세요

golang에서는 serialization, 즉 byte[] 데이터를 stream화 하는 녀석의 이름이 encode라고 부르네요.

golang made

json.Marshal , Encode 의 개념도

계속 읽기

종종 멈춘다거나, 빈번하게 죽는 앱이라면 사용하시지 않겠죠. 그렇다고 전체 개발자중 1인 개발자가 70%인  상황이라. 개발자들의 TDD, Profiling 등을 통해 품질을 검증해서 앱이 나오기는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아실말한 분은 다 아시겠지만, Android 에는 크래쉬 리포트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Bugsense , ACRA, Crashlytics 같은 것이 있죠. 품질을 시키기 위해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전체 앱에서 10%정도 밖에 안됩니다.

왜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걸가? 그리고 기존 Bugsense , ACRA, Crashlytics같은 서비스들의 불편함은 무얼까 고민을 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서비스가 바로 UrQA 입니다 .  초기 서비스에는  양현철, 정승수, 안정원 이 3명이 매우 빠르게 고생해서 만들었습니다.  3개월안에 기획, 구현, 디자인 까지 이 3인방이 끝냈습니다.  소마에 멘티들로 정말 최고의 실력을 가졌고, 세상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만들었기에 박수를 치고 싶습니다.  한번 보시죠..

등급화, 쉬운 재현,  Native (C언어)를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오픈소스이며 서비스도 ucloud의 커뮤니티 지원으로 무료로 운영중입니다.

이 서비스를 자랑하고 싶기도 하고, 많은 애용을 말씀 드립니다.  크게 홍보하지 않았지만 100개의 앱이 넘게 저희의 서비스르 무료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계속 읽기

12/13일 미래창조부, NIPA에서 개최한 제 2회 아키텍처 실무자 컨퍼런스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저희 모바일 분과에서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 블록 2″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습니다. 실제 현업에서 활동하시는 한분 한분을 모아서 만든 자료이므로 많은 안드로이드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거리 믿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블록

어플리케이션 블록 이라는 것은? 기존 Framework들을 더 쉽게 잘 쓸수 있게 추상화 놓은 Block으로 보시면 됩니다.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거대하게 모든 기능을 다 들고 있는게 아니라, 잘 블록화 되어서, 필요한 것만 그때 가져다 쓰는 컨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에서는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해야 하므로, 어쩔수 없는 상황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Spring 프레임워크가 잘 안 쓰이는 이유도 이거죠. 덩치가 큰 편입니다.

안드로이드는 인기있는 Framework입니다. 하지만 단편화나 폐쇄적인 운영으로, 개발자를 골치아프게 하는 여러 이슈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수한 오픈소스가 존재중이며, 알람몬, Sleep if you can 을 비롯해,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여러 오픈 소스들을 모아서 정리하고 Layer별로 분류후 아키텍처와 사용 방법을 정리해 공유한 자료입니다.

같이 고생을 많이 해 주신 주윤회 님, 오유한 님,   알람몬 팀, 신재명 님 , 진성주 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