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아키텍팅 강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및 평가 기법, 그리고 부하테스트/ 성능 최적화에 대한 강의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는 말그대로 진행은 하면 되지만, 결국 많은 설계 기법을 알지 못하면 좋은 설계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2022년에 다음과 같은 강좌 들을 진행했습니다. 강의를 하다보면서, 아직 많은 교재들이 디자인패턴에 지식이 머물러있고, 몇몇 […]

일전에 약속을 드렸던 것처럼 Fault Tolerance 패턴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고 가용성이라는 것이 서버쪽에서는 동일한 요소를 두개 주는 이중화라는 기법으로 확보가 가능하지만, 자동차나 프론트엔드, 모바일쪽에서는 이중화 전략을 쓰기에는 한계가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과정을 준비하면서 만든 자료입니다. 저 역시 많은 선배님들의 지식을 가지고 성장했던 것처럼, 이 자료가 많은 동료와 후배분 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었으며 합니다. pdf로 […]

EVA팀이 팀의 이름으로, 드디어 외부 세미나를 합니다.

패턴 , Framework, 그리고 아키텍트가 알야할 97가지의 못다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현종님의 Fearless Change 패턴 이야기가 30분정도 진행됩니다. 사람 관계와 패턴에 연관성에 대해서 놀라운 사실을 알수 있을듯 합니다.

계속 읽기

이번주 금요일 저녁에 강남에서 패턴 세미나를 엽니다.

이광춘 님과 친한 태호형이 힘을 다해 운영하고 있는 미래의 소프트웨어 품질 연구회라는 커뮤니티로, 좋은 강사들을 섭외해서 매 달마다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네요. 좋은 강사의 자격(?)은 의심되지만, 부족하나마 저의 지식을 공유할려고 합니다.

  1. 주최 : 미래의 소프트웨어품질 연구회(미소연), DigiEco
  2. 일시 : 2009년 10월 23일(금), 오후 7시30분-  (세미나는 1시간 30분 예정)
  3. 장소 : 토즈 강남대로점 (교보사거리 위치)
  4. 주제 :  미워도 다시 보는  패턴 이야기 / PLOP 학회 참석 후기

이번 행사는 Pattern에 대한 올바른 시선과 학습법을 제공해 드리고, PLoP에 대한 공유도 약간 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Do Food 패턴의 일환으로 약간의 음식(도넛 or 김밥) 도 무료로 제공되니, 금요일 약속이 없으시다면 방문해 주세요 🙂

계속 읽기

ralphjohnsonDesign Patterns의 GoF중 한 사람이자,  Framework의 대가인 Ralph Johnson이 내한 합니다.

이번 방문과 함께, Korea Spirng User Group의 안영회님께서  수고해 주셔서 세미나를 여시네요.

비록 5만원의 유료 세미나지만, Ralph Johnson과의 점심 시간도 가질 수 있고, 세미나 정보도 알차니, 참여하시면 매우 값진 것들을 얻으리라 믿습니다.

관심 있는 분은 꼭 참여하셔서 Ralph Johnson의 경험과 지식을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자세한 정보는 안영회님에게 요청해주세요!

계속 읽기

이번 제 1회 닷넷 커뮤니티 컨퍼런스에 발표한 TP 자료를 많은 분이 요청하셔서 부득이하게 공유합니다.

  • 패턴의 정의
  • 패턴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패턴으로 가는 길
  • 패턴 빌드 오더
  • 패턴 + 생산성 두마리의 토끼 잡기

계속 읽기

안녕하세요. 요즘 블로깅이 뜸하다고 몇분이 저에게 사적으로 말씀하시더라구요 🙂

이유는 나중에 말씀 드리도록 하고, 조만간 있을 세미나 2개에 대한 정보를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1. 미워도 다시보는 패턴 이야기  (4월말에 있을 초대형 세미나에 한 섹션)

행사의 구체적인 정보를 말해 드릴수 없지만,  조만간 1000명이상을 위한 세미나가 4월말에 열릴 예정입니다.

추후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Update하도록 하고, 제가 진행하는 세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패턴 이라는 것이 너무 GoF 패턴, 그리고 소프트웨어 설계 기술에만 치우쳐 한국 개발자에게  공유되어 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패턴에 대한 오해들과 프로세스나 실제 개발자 삶에 도움이 되는 패턴 이야기를 여러분들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Code 보다 Model에서 생각하는 방법과 개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이야기들도 나눌 겁니다. 아마 이게 백미라고 생각이 드네요.

이미 대전에 한 중소기업에서 세미나를 진행했고, 피드백이 매우 괜찮았습니다.   4월 말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계속 읽기

Framework’s Day의 발표가 드디어 이번주로 다가왔습니다. 오랜만의 발표라 저 역시 기대되네요 여러분의 Feedback을 수렴하고, 몇가지 정보들이 추가된 Presentation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거의 변화가 없을듯 하며, 있어도 소폭의 변화가 있을 걸로 예상이 됩니다. 이전 Presentation보다 Dependency에 대한 내용들이 보강되었으며,  Topic별로 내용을 세분화 하여 나누었습니다.  다른 분들의 Presentation 자료들은 Framework Design Guideline Springnote에서 받으실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여러분의 […]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

Framework’s Day 등록이 드디어 시작되었습니다.  

저의 인맥중 Framework와 가장 관련된 활발한 분들을 모시어 세미나를 2달여전에 준비하게 되었고, 그 결과를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행사는 약속대로 11월 29일 날 진행이 되어지며, 자세한 곳은 아래 링크를 따라가서 보시길 바랍니다.

  계속 읽기

Framework’s Day가 가까워 오고 있습니다.  오늘 (11/7) 세미나 순서와 소개자료를 정리해 데브피아 쪽에 전달할 생각이며,  다음주중에 데브피아를 통해 세미나 접수를 받을 예정입니다.

이때 발표할 세미나 자료의 Beta 버젼을 공개합니다. 아직 수정의 여지는 매우 많지만, 큰 뼈대는 완성되었다고 볼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먼저 블로그 독자 여러분의 피드백을 받습니다.

http://www.slideshare.net/arload/framework-engineering-presentation/ download file을 클릭하시면 PDF 버젼을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이 자료는  Krzysztof Cwalina의 Framework Engineering 자료를 요약 정리한 것이며, 거기의 저의 지식과 살을 더 붙인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추가의 여지가 매우 많습니다.  빡빡한 텍스트들을 좀더 비유를 넣어 수정하고 Schmidt 박사님의 논문의 내용들을 더 추가할 생각입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