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또 하나의 작품이 출간되었습니다.
아키텍트가 가 알아야 할 97가지에 이어 프로그래머가 알아야 할 97가지가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여러 지인들이 의기투합해서 만든 작품으로, 오랜 시간이 걸려 드디어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고생을 해주셨구요. 10명이 넘게 번역 작업을 하느라 정말 고생이 많았습니다. :
특히 일정한 퀄리티가 나오도록 어려번 검수를 해주시느라 고생해 주신, 김수현 , 최현미 두 역자님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주셔서, 최종 검수때 많이 편했습니다. 정말 두 분에게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어떻게 보면 두 분의 이름이 1,2 역자로 먼저 나와야 하는데, 겸손하게 저에게 1역자를 주셔셔, 책임감이 크게 느껴집니다.
또한 베타리더 분들에게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오역을 많이 다듬어 주시고, 좀더 쉬운 용어로 바꾸는 작업을 해주셔서 이 분들이 아니였으면 정말 더 오래 걸렸을거 같습니다.
이전 소프트웨어 아키텍트가 알아야 할 97가지 보다 좀더 개발자에게 와 닿고 가슴을 적실 선배들의 조언들이 듬뿍 담겨 있습니다. 업계 최고의 아키텍트, 프로그래머, Agile 전문가들이 경험에 기반한 조언들입니다.
또한 특별 부록으로, 원서에는 없는 한국의 유명한 프로그래머들의 추가 에피소드가 실려 있습니다.
지난 주말 (2012년 5월 20일) 코엑스에서 스마트 개발자 협회가 주관하는 글로벌 커뮤니티 써밋에 EVA 커뮤니티 연사로 발표를 했습니다.
먼저 이번 발표에 많은 도움을 준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멘티인 오유환, 강미경, 김나래, 손윤정 4 멘티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4명이 아니였다면 이러한 좋은 자료는 나오지 못했을 겁니다.
프리젠테이션이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 이해
- 구글이 꿈꾸는 Android의 미래 (Modu 사 특허 인수와 Android@Home)
- Binder ( Broker 패턴 )과 Intent
오픈소스 그리고 사례
- Simple Framework
- Logcat보다 Microlog4Android
- 불편하지 않은 화면 갱신 (Publisher-Subscriber)
분석 방법
- Localytics로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 STAN을 이용한 Android App 분석방법
이번 발표는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멘토로 활동하면서, 멘티들과 같이 만들어 낸 작품입니다. 비록 여러가지 상황(취업, 학업등)으로 모든 멘티가 다 2단계에 진출은 하지 못했지만, 지금도 열정을 내뿜으며 같이 성과를 만들어내고 좋은 팀웍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표란 직접 경험을 하지 않아도 현재의 상황을 알수 있는 도구를 말합니다. 옛날 제주도에서는 식수가 귀해 빗물을 식수로 사용을 했습니다. 빗물의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개구리 (숫놈끼리만 넣거나, 암놈끼리만 넣거나)들을 넣었다고 합니다.
개구리 들이 벌레들을 잡아먹어 물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개구리의 생존 여부로 물 오염도를 파악을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전에 소프트웨어 품질을 판단하는 지표로, 1000 피트의 뷰 라는 글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너무 상세하지도 않고, 너무 추상화되어 있지도 않은 그 사이의 뷰를 1000 피트의 뷰라고 불렀습니다.
이러한 지표중 하나로, 예전 저의 포스트에서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 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이러한 연장선상으로 Clean Code로 유명하신 Robert C. Martin (줄여서 Uncle. Bob)님이 만드신 Instability/Abstractness Graph 하나를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그래프에 대해 국내에 명확하게 소개된 자료가 없어서, 꼭 여러분에게 공유를 해드릴려고 합니다. )
이 포스트를 읽기 이전에 Bob 삼촌이 발표하신 패키지 구조의 원칙들(Principles of Package Architecture) 을 읽어보시거나, 또는 저의 이전 포스트인 Dependency를 관리하는 방안 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Uncle Bob의 지표는 Instability와 Abstractness 두 개에 대해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물론 여기에 추가적인 지표를 더한 변종(Variant) 들도 있지만, 이 두 가지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