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게 연례 행사가 된 PLoP / SPLASH 참가는 정말 뜻 깊은 행사가 될듯 합니다.

이번 Bootcamp 행사는,  Linda Rising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참석을 못해 아쉬움이 컸습니다. 하지만 반사 이익으로 사상 최고의 맴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 Robert Hanmer, Joe Yoder, Rebecca Wirfs-Brock 님이 진행을 하셨습니다.  이전 2번의 워크샵과는 다르게 프리젠테이션이 많이 보강되었습니다.

작년에 있었던 Joshua Kerivsky 발표의 영향 때문인지, Christopher Alexander의 철학과 이야기들이 많이 보강되었고, Joe Yoder가 AsianPLoP에서 했던 패턴 라이팅까지 패턴을 가르키는데 종합 선물센트에 가까운 Bootcamp 였습니다.

거기다 일본 KEIO대학에서 대거 행사에 참여했는데, 다케시라는 분이 Learning Pattern Languages를 만들었다며 선물로 나누어 주었습니다. (같이 프로젝트를 한 토모라는 분이 “Learning Pattern”의 PDF 버전이 공유되어 있다고 하니, 추후 접수되는 대로 공유하겠습니다. 아마 지금 일본 분들은 고국으로 가느라  비행기에 있겠네요.)

계속 읽기

지난 Rebecca Wirfs-Brock의 Nature of Order I를 이어 그 다음 이야기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혹시 이전 내용을 못 읽으신 분은 링크를 따라  한번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워낙 방대한 내용이라, 섣불리 글이 써지지 않더군요. 철학과 생명체, 사물 (Thing)의 구성 원칙들을 기술하는 것이다 보니, 농업 / 생명 / 건축등 다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너무 철학적이어서, 개발자가 읽기에는 지루할수도 있죠. 아직 책을 다 읽지 못했지만, PLoP에서 정리한 노트내용과 NOO를 SW 설계에 빚대어 설명한 논문들 그리고 저의 부족한 경험을 합쳐서 용기를 내어 써 봅니다.

항상 경청하는 자세로 여러분의 피드백을 받겠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말씀해주시고, 더  좋은 의견을 주시면 관련 자료를 더 찾고 공부해서 NOO 데이터를 계속 업데이트할 욕심은 있습니다.

계속 읽기

Joshua Kerievsky 의 A Timelss way to communicate 세션 (부제 : : The Alexandrian Pattern Format )을 듣고 왔습니다. 패턴 저자들에게 Christopher Alexander 패턴의 가치를 깨닫게 해주고, 패턴 저자로써  가야할 방향을 제시한 좋은 발표였습니다.

크게 요약하면, 패턴을 작성하는 스타일이 있는데,  Portland Form  –  Jim Copeling Form – GoF Form – Alexandarian Form 형태로 성숙하고 더 좋은 포멧이라는 것을 설명하는 세션이었습니다.  A Timeless way of Building를 작성한 Christopher  Alexandar가 만든 패턴 포멧에 대한 가치와 심오한 배경등을 설명해 주고, 왜 우리 패턴 저자들이 Alexandar가 만든 스타일을 따라야 하는지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재미난 건 PLoP에 GoF인 Ralph Johnson도 있고,  Linda Rising 도 있고, Jim Copelin은 안 나왔지만 이미 친분이 두터운 관계인데, 그들의 스타일을 일일이 설명하면서, 어떻게 개선해야 되는지 설명한 세션이다 보니, 국내에선 이렇게 하다가 분위기가 험악해 질수도 있을거 같았는데. 놀라웠던건 그들이 그걸 수긍하고, 이미 Alexandarian 패턴 포멧을 따라가겠다는 의지를 밝혀 주었다는 겁니다.   역시 PLoP에 참가한 대가들은 변화와 개선점도 아주 빠르게 흡수한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일단 특별히 어떤 형태로 쭉 잘정리하고 싶었지만 영어를 실시간으로 들으면서 정리하는데는 시간이 무지 많이 걸리거 같아. Timeline 순서대로 쭉 메모한 것을 그대로 적겠습니다.

계속 읽기

얼마전 장 선진님의 소개로 겜브라스  조정현 대표님에게 뜻 밖의 선물을 받았습니다. 바로 구하기 힘든 Christopher Alexander의 Pattern Languages의 시초가 되는 책을 선물 받았습니다.  그것도 1982년에 출간된 손 때가 묻은 서적을요. 아무런 조건 없이, 이 책은 내가 주인이 아니라. 패턴 저자인 영수님이 가져가는게 맞다며 주시더라구요. 정말 감사하고, 한 편으로는 패턴 저자가 별거 아닌데라고 생각해왔었는데..  더욱 어깨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