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아키텍팅 강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및 평가 기법, 그리고 부하테스트/ 성능 최적화에 대한 강의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는 말그대로 진행은 하면 되지만, 결국 많은 설계 기법을 알지 못하면 좋은 설계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2022년에 다음과 같은 강좌 들을 진행했습니다. 강의를 하다보면서, 아직 많은 교재들이 디자인패턴에 지식이 머물러있고, 몇몇 […]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의 길은 멀고 험난합니다. 그 와중에 조금이나마 아키텍트를 꿈꾸거나, 진입하시는 분들을 위한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미 다양한 대기업에서 강의를 했습니다. 수업의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심있는 기업 교육자 담당자 분들은 연락을 주시면 됩니다. 시간당 25만원이 아니면 강의를 하지 않습니다. 시간당 20만원의 요청이 제법있는데, 안 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수도권이 아닌 지방이라면 지식 공유를 위해 훨씬 저렴하게 […]

지난 주말 (2012년 5월 20일) 코엑스에서 스마트 개발자 협회가 주관하는 글로벌 커뮤니티 써밋에  EVA 커뮤니티 연사로 발표를 했습니다.

먼저 이번 발표에 많은 도움을 준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멘티인 오유환, 강미경, 김나래, 손윤정 4 멘티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4명이 아니였다면 이러한 좋은 자료는 나오지 못했을 겁니다.

프리젠테이션이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 이해

  • 구글이 꿈꾸는 Android의 미래 (Modu 사 특허 인수와 Android@Home)
  • Binder ( Broker 패턴 )과 Intent

오픈소스 그리고 사례

  • Simple Framework
  • Logcat보다 Microlog4Android
  • 불편하지 않은 화면 갱신 (Publisher-Subscriber)

분석 방법

  • Localytics로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 STAN을 이용한 Android App 분석방법

이번 발표는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멘토로 활동하면서, 멘티들과 같이 만들어 낸 작품입니다.   비록 여러가지 상황(취업, 학업등)으로 모든 멘티가 다 2단계에 진출은 하지 못했지만, 지금도 열정을 내뿜으며 같이 성과를 만들어내고 좋은 팀웍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저에게 연례 행사가 된 PLoP / SPLASH 참가는 정말 뜻 깊은 행사가 될듯 합니다.

이번 Bootcamp 행사는,  Linda Rising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참석을 못해 아쉬움이 컸습니다. 하지만 반사 이익으로 사상 최고의 맴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 Robert Hanmer, Joe Yoder, Rebecca Wirfs-Brock 님이 진행을 하셨습니다.  이전 2번의 워크샵과는 다르게 프리젠테이션이 많이 보강되었습니다.

작년에 있었던 Joshua Kerivsky 발표의 영향 때문인지, Christopher Alexander의 철학과 이야기들이 많이 보강되었고, Joe Yoder가 AsianPLoP에서 했던 패턴 라이팅까지 패턴을 가르키는데 종합 선물센트에 가까운 Bootcamp 였습니다.

거기다 일본 KEIO대학에서 대거 행사에 참여했는데, 다케시라는 분이 Learning Pattern Languages를 만들었다며 선물로 나누어 주었습니다. (같이 프로젝트를 한 토모라는 분이 “Learning Pattern”의 PDF 버전이 공유되어 있다고 하니, 추후 접수되는 대로 공유하겠습니다. 아마 지금 일본 분들은 고국으로 가느라  비행기에 있겠네요.)

계속 읽기

마소 5월호에 뜻깊은 일을 하나 했습니다.

저희 스터디 팀원의 손정민군과, 소마에 장선진님의 소개로 알게된  변현규, 문준석, 송은진 이 3명의 친구들이 고생해줘서, Pattern과 Agile에 유명한 대가이신, Linda Rising님의 “Customer Interaction Pattern”  (이 패턴은 InfoQ에서 interview할 정도로 인기가 있는 패턴입니다. ) 을 여러분과 공유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네 친구들의 지식 나눔에 정말 감사드리며, 몇번의 피드백으로 정말 좋은 산출물이 나와 만족합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누군가를 성장시킬때 얻는 기쁨을 맛 보았습니다.   정말 지식은 나눌 때, 기쁨이 큰 것 같습니다.

PLoP 2010 Conference에서 Linda Rising과 같이 찍은 사진입니다.  따뜻함이 느껴지는 사진이죠. 정말 컨설턴트로 가야 될길을 피부적으로 알게 해주신 분입니다.     다음엔 남편분인 Karl 선물도 준비해야 겠더라구요.  Karl 님도 아주 따뜻한 분이세요. 한 분만 드리기 미안해서..  🙂

고객과 소통하는 패턴

소통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핵심 매개체 중 하나다. 바쁜 현대사회에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해 소통의 끈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보면 소통이 인간의 기본욕구라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통은 단지 사람과 사람사이에서만 성립되는 것일까? 필자는 기업과 고객의 관계에서도 소통이라는 명제가 성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기고에서는 애자일과 패턴의 대가인 Linda Rising이 발표한 ‘고객과 소통하는 패턴’을 국내 실정에 맞게 의역했다. 과거의 기업은 고객에게 좋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만을 제공하면 성공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고객과의 소통에는 소홀했다.

하지만 고객들이 인프라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갖게 되면서 좋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만으로 기업을 선택하지 않게 됐다. 결국 기업과 고객이 교감하는 소통이 화두로 자리잡았고, 기업은 고객과 교감하기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방식과 메커니즘을 찾았다. 이 때 기업은 ‘고객=돈줄’이 아니라 ‘고객=사람’으로 봐야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고객과 기업을 사람 간의 관계로 바라봐야 비로소 효과적인 소통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위 그림은 앞으로 설명할 패턴들의 지도 (Pattern Map) 이며,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패턴을 다룹니다 .

  • 판매가 아니라 관계다
  • 고객을 파악해라.
  • 신뢰를 쌓아라.
  • 고객의 말에 집중해라.

계속 읽기

데브피아와 지앤선이 준비해 준 행사의 열기가 식기도 전에, 또 한번 저희 EVA가 준비하는 또 한번의 공개 세미나가 열립니다.

8월 26일 목요일 / NIPA (정보 통신 산업 진흥원)에서 주관하는 SW Technical 공학 세미나에 저희 EVA 식구들이 또 한 번의 만남을 여러분과 가져보고자 합니다.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이미 패턴 포커의 경험은 10회가 넘어섰고,  가장 최근에 한 패턴 포커는 패턴에 무지한 분들까지 정말 재미나게 패턴을 익혔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패턴 관련 행사가 끝나고, 이런 행사를 왜 안하냐라는 요청을 제법 받았습니다. 혹시 여력이 되시는 분은 꼭 참여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계속 읽기

행사가 끝난지 한달이 다 되어 가서 포스팅을 하네요.    어떻게 행사가 진행되었고, 어떤 결과물이 나왔는지 공유해 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ICE BREAKING

먼저 서로간의 벽을 깨어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나란 사람은 누구이고, 서로를 소개하는 게임을 먼저 진행했죠.

일전에 포스팅했던 PLoP의 Rippling Game (잔물결 치며 이름외우기) 진행했습니다. 파도치기를 하면서 서로를 소개하는 방법입니다.   다들 서로의 이름을 짧은 시간에 외우누라 고생이 많았지만 얻어가는게 많습니다. 실제 저희 EVA 스터디 식구들은 2주마다 이렇게 자기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를 좀더 쉽게 이해해 나가죠. 작은 것 하나 사는 얘기들을 나누면서 좀더 친밀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것이 곧 소통의 열쇠가 됩니다.

계속 읽기

패턴 칵테일.  이름을 봐서는 술이라도 한잔해야 될거 같은데요.

이름 맞추기 게임 (Name that Pattern)

이 게임은 패턴 포커를  뽑아서 보지 않고 자기 머리 위에 올려 놓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패턴이 뭔지 이것 저것 물어서 맞추어야 합니다.

상당히 쉬울거 같지만, 막상 당사자는 답답합니다.  무엇을 물어봐야 할지도 어렵고, 주위에 있는 사람이 실컷 설명해줘도, 찾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계속 읽기

학습 곡선을 줄이며, 단기간에 쉽게 새로운 것들을 받아 들일 수 있을까?  그것에 대한 대답은 바로 놀이라고 생각합니다.

얼마 전 저희 EVA팀과 같이 Pattern Poker를 쳤습니다. 정말 놀이와 학습이라는 두가지 토끼를 잡은 좋은 게임이었습니다.  Pattern Poker (패턴 포커)라는 이름이  다들 생소하시리라 봅니다. AsianPLoP에서 만난 Refactoring to Pattern의 저자인 Joshua Kerievsky가 창안안 방법이며, 구입할 방도가 없어서 제가 직접 만들었습니다. 🙂 게임의 룰을 간단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계속 읽기

이번주 금요일 저녁에 강남에서 패턴 세미나를 엽니다.

이광춘 님과 친한 태호형이 힘을 다해 운영하고 있는 미래의 소프트웨어 품질 연구회라는 커뮤니티로, 좋은 강사들을 섭외해서 매 달마다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네요. 좋은 강사의 자격(?)은 의심되지만, 부족하나마 저의 지식을 공유할려고 합니다.

  1. 주최 : 미래의 소프트웨어품질 연구회(미소연), DigiEco
  2. 일시 : 2009년 10월 23일(금), 오후 7시30분-  (세미나는 1시간 30분 예정)
  3. 장소 : 토즈 강남대로점 (교보사거리 위치)
  4. 주제 :  미워도 다시 보는  패턴 이야기 / PLOP 학회 참석 후기

이번 행사는 Pattern에 대한 올바른 시선과 학습법을 제공해 드리고, PLoP에 대한 공유도 약간 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Do Food 패턴의 일환으로 약간의 음식(도넛 or 김밥) 도 무료로 제공되니, 금요일 약속이 없으시다면 방문해 주세요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