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부터 변화를 시작해야 할까요?
그건 바로 마음가짐일 것입니다. 내 자신이 변화를 전파하는 Evangelist가 되어야 하며,열정을 지속적으로 유지 할수 있는 Dedicated Campion되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Dedicated Champion이 되기 위해서는 변화를 주도하는 역할 역시 업무의 부분으로 인정받아야 되는데, 대부분의 기업들이 업무라면, 단순히 개발하거나, 어떠한 성과가 나오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기업이나 조직에서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변화를 이끄는 일, 역시 업무로 인정하는 분위기가 필요합니다. 안되면 Google 처럼 2/8 이라도 해주셨으면..
그리고 변화를 계속해서 잘 주도내 나가고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무언가 지속적으로 일이 진행된다는 것을 알려야 하며, 또한 잘 평가받기 위해서, 근거와 자료를 뒷 받침하는 자료를 꾸준히 만드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프로세스 대한 도입으로 차츰 차츰 반복되는 실수나, 문제점을 줄어나간다는 것 을 도표로 뽑아내어 예전보다 나아졌다고 평가를 하는 것 보다는, 조직원들이 변화를 인식하고, 이것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팀원들이 다 같이 느끼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곘죠. 하지만 변화를 지지 하는 Coporate Angel(높은 상관)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이러한 평가자료도 매우 중요합니다.
자 그럼 Fearless Change 에서 언급하는 전략적으로 변화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보죠.
저희 Eva팀이 드디어 두 번째 프로젝트인 “97 things every software architect should know (가제 – 모든 아키텍트라면 알아야 할 97가지 이야기)” 에 대한 1차 번역을 마쳤습니다.
2 달만에 번역하기 프로젝트를 시도했지만, 예상외로 아키텍트 특유의 고급적인 문체, 시와 같이 운율을 살리는 비유, 해당 도메인의 지식 부재등으로 약간의 난전을 겪었습니다.
그래서 3달 만에 1차 번역이 마치게 되었네요. 내부적으로 1차 리뷰를 마치고 출판사에 맡겼지만 아직 손봐야 할 것이 여러군 데 있는 건 사실입니다. 어느정도 책의 형태가 나오면 베타리더를 모아 더 다듬어야 겠죠.
저와 같이 PLoP을 참여한 고 상원 군이 저와 는 다르게 저자 워크샾을 지켜 보았다고 합니다.
더 나은 저자 워크샵 진행 방법을 만들기 위해 참가자와 조정자의 진행 방식등을 분석했다고 합니다. 파리(저자)의 또 다른 시선이니 저자 워크샵을 진행하시는 분은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듯 합니다.
아래의 메세지는 고상원 군의 포스트인 “저자 워크샾에 대한 관찰”에서 가져왔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고상원 군 says…
얼마 전, 또 한번의 저자 워크샵을 가졌습니다. 이번엔 논문 내용에 대한 것보다 저자 워크샵 자체에 포커스를 맞춰서 메모를 했습니다. 저자 워크샵을 도입하려면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문제점을 가지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저희 EVA 네 식구 (현종님, 지원군, 민정님, 희정양, 정민군)와 함께 Half-Push/Half-Polling 패턴에 대해서 또 한번의 저자 워크샾을 가졌습니다. POSA2에 대한 이해도가 PLoP에 있는 분들보다는 높기 때문에, 좀더 수월하게 Writer’s Workshop이 진행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재미난 것은 PLoP에서 받은 피드백과 유사한 내용도 많았고, 다양한 의견도 많이 나와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 일전에 약속한 대로 여러가지 패턴 이야기들을 가져 왔습니다!!
사실 이미 많은 분이 접하셨을 겁니다. 바로 마소 5월호에 저희 스터디 팀이 Cover Story를 기고했는데요 그 내용들입니다.
처음 기고를 하신 분들도 있고, 아닌 분도 있지만 모두에게 좋은 경험이 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저 역시 저희 커뮤니티 맴버들이 뭉쳐서 이런 좋은 글을 만들었다는 것이 매우 큰 기쁨으로 느껴집니다.
사실 커뮤니티를 운영하면서 가장 만족감을 느끼는 것은, 서로에게 성장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를 주고 나누는 것이죠. 그리고 같이 성장해 가는 것을 보고 느낄때 기쁨은 이루 말할수 없습니다.
이 것이 제가 생각하는 커뮤니티의 올바른 모습이며, 앞으로도 잘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그럼 이번에 저희 EVA 팀이 기고한 글들을 차례대로 간략히 소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