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8, 2012 — arload
[Webcast -2번째 KCD]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그리고 패턴
7월 7일 있었던 제2회 대한민국 커뮤니티 데이에 발표한 동영상 강좌가 올라왔습니다.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그리고 패턴에 대한 강좌입니다.
이번 강좌가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 이해
- 구글이 꿈꾸는 Android의 미래 (Modu 사 특허 인수와 Android@Home)
- Binder ( Broker 패턴 )과 Intent
오픈소스 그리고 사례
- Simple Framework
- Logcat보다 Microlog4Android
- 불편하지 않은 화면 갱신 (Publisher-Subscriber)
분석 방법
- Localytics로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 STAN을 이용한 Android App 분석방법
여러분의 성원에 잘 마무리 된거 같습니다. 발표 자료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영수님 좋은 자료 공유 감사합니다.^^
혹시 하나만 질문 해도 될까요. 안드로이드에서 MVC 구조로 가려고 하는데 Model객체를 어디에 둬야 할지 그게 좀 애매합니다. 혹시 괜찮은 사례나 가이드 라인이 있을까요?
역시 아키텍처 분야는 대답하기 힘든거 같습니다.
저도 아주 제한적으로 지식을 알기 때문에.. 어렵네요..
저의 생각으로는 db나 저장소의 성격에 model 데이터가 있어야 할거 같습니다. 단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변화를 전파해주기 위해 cp로 잘 랩핑되어 있어야하며, cp가 관련 ctrl 또는 handling할 view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할거 같아요..
저희 프리젠테이션 중에 화면 재갱신없이 동기화 하는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을 보면 조금 참조가 될거 같습니다. 🙂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
안녕하세요^^ 엄청나게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영수님께서 올려주신 영상은 댓그을 달기 전에 한번 봤는데 감이 잘 안오네요.. ContentProvider를 Model이 있어야 할곳으로 할지 고민을 해보니. 명확한 답이 잘 안나오더라구요. 음.. 제가 생각한 문제는… Activity들까지도 컨트롤을 해줄 수 있는.. model이 필요한데 Content프로바이더는 Activiti가 요청한 데이터를 관리해 주는 느낌밖에 아직 받질 못했습니다.ㅠ
아직 자세히 공부를 해보지는 못했지만..
한가지 간단한 상황을 생각해 봤는데요.
어플리케이션을 띄웠을때. 자동로그인이 미리 설정되어있는 상황이라면 메인페이지를 바로 띄우고 그렇지 않다면 로그인 페이지를 띄우려고 생각중인데요.. 만약 특정 엑티비티에 그것을 결정하는 로직이 들어있다면..
처음에 뜨게되는 Activity(예를들어 LoginPage)가 다음에 떠야될 Activity(예를들어 MainPage)를 알고 있어야 하고. 만약 설정값에 따라서. 첫 화면이 변경되어야 할경우.. 계속 LoginPage가 영향을 받는 상황이더군요..
그래서 생각을 해보다가.. Model을 Application 클래스를 확장을 해서 그 안에다가 두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 보게 되어서 검색을 해보니.
Android-binding 프레임 워크라는것이 있더군요..
혹시 안드로이드 바인딩 프레임 워크에 대해서 뭔가 알고계신가요??
혹은 Model을 Application을 확장하여 메인 모델을 두어돠 괜찮을까요?
아. 너무 관련 없는 질문을 계속했다면 죄송합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