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OP! 패턴 축제의 장으로 초대합니다!
패턴 학회 PLOP를 아시나요?
1994년 부터 시작된 패턴을 공유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Conference로 객체 지향의 유명한 Conference인 OOPSLA와 같은 장소에서 연이어 열립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Pattern 서적의 저자라면 이곳을 이미 다 거쳐갔습니다. GoF의 Ralph Johnson, POSA 2의 Douglas C. Schmidt이 이곳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여 주시고 계시며,패턴 계의 거룩한 전설인 POSA 시리즈를 비롯해, 요즘 나온 패턴 서적들인 XUnit Test Pattern, Patterns for Fault Tolerant Software 등 여러분이 알고 있는 많은 패턴들이 이 학회를 통해 먼저 소개 되고, 검증 받았다는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키텍트에게 패턴이 꼭 필수적이지 않다고 말하시지만, 이것은 인류가 만든 지식 공유의 철학과 가치를 무시하는 처사입니다. 이미 탑을 쌓기 위한 좋은 가이드라인이 있는데, 왜 그 가이드라인을 무시하고 처음부터 탑을 쌓으실려고 하는걸까요?
패턴에 대한 불신을 가지는 이유 에 대해서 매체를 통해 언급한 적이 있지만,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익혀야할 초식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그 지식의 결과들을 여러분에게 공유합니다.
PLoP 2008 [Online proceedings]
PLoP 2007 [Online proceedings]
PLoP 2006 [Online proceedings]
PLoP 2005 [Online proceedings]
PLoP 2004 [Online proceedings]
PLoP 2003 [Online proceedings]
PLoP 2002 [Online proceedings]
PLoP 2001 [Online proceedings]
그리고 EuroPLOP, ChilliPLOP와 같은 각 대륙권 PLOP가 또 있으니 관심있는 분은 http://www.hillside.net 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PLoP 최근 디자인 패턴을 약간 보면서 정말 많이 언급되는 학회네요. 그런데 proceedings들에 대해서 통합 검색 기능이 없어서 논문을 찾아보기가 좀 힘든 것 같습니다.
역시 부지런해져야 하는걸까요 히히
안녕 동훈아 오랜만이다. ^^ ㅎㅎㅎ
자주 와서 안부도 묻고 아는 친구들한테도 알리고 해라~~
건강하고 ^^ ㅎㅎㅎ 수고해~~
[…] 고성능과 인터넷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할때 사용하기 유용판 패턴 서적으로, 실제 실무에 Infra를 구축하시는 개발자에게는 좋은 동반자가 되는 서적입니다. 시스템을 제어, 성능 측정, 적절한 서버수 산정과 같은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므로 읽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PLOP 학회 논문들 […]
[…] 이전 논문들 은 여기서 받으세요 […]
와 이거… 엄청나네요 +ㅁ+
감사합니다!
레몬 에이드 >>
ㅎㅎㅎ
그렇죠 평생 공부할 거리를 드린 셈이죠 🙂
좋은 시간 되시길.
[…] PLoP (미국에서 열리는 기반 학회) – https://arload.wordpress.com/2008/04/02/plopfestiv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