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up + Open Source 엔지니어링 = URQA 구축 이야기
종종 멈춘다거나, 빈번하게 죽는 앱이라면 사용하시지 않겠죠. 그렇다고 전체 개발자중 1인 개발자가 70%인 상황이라. 개발자들의 TDD, Profiling 등을 통해 품질을 검증해서 앱이 나오기는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아실말한 분은 다 아시겠지만, Android 에는 크래쉬 리포트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Bugsense , ACRA, Crashlytics 같은 것이 있죠. 품질을 시키기 위해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전체 앱에서 10%정도 밖에 안됩니다.
왜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걸가? 그리고 기존 Bugsense , ACRA, Crashlytics같은 서비스들의 불편함은 무얼까 고민을 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서비스가 바로 UrQA 입니다 . 초기 서비스에는 양현철, 정승수, 안정원 이 3명이 매우 빠르게 고생해서 만들었습니다. 3개월안에 기획, 구현, 디자인 까지 이 3인방이 끝냈습니다. 소마에 멘티들로 정말 최고의 실력을 가졌고, 세상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만들었기에 박수를 치고 싶습니다. 한번 보시죠..
등급화, 쉬운 재현, Native (C언어)를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고, 오픈소스이며 서비스도 ucloud의 커뮤니티 지원으로 무료로 운영중입니다.
- 서비스 주소 : http://www.ur-qa.com
- 서비스 사용법 : http://bit.ly/MNqXnV (이미 저희 서비스를 쓰고 정리를 자발적으로 해주셨습니다)
- 오픈소스 : https://github.com/UrQA/
이 서비스를 자랑하고 싶기도 하고, 많은 애용을 말씀 드립니다. 크게 홍보하지 않았지만 100개의 앱이 넘게 저희의 서비스르 무료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사실 더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는데. 바로 저희가 3개월 프로젝트로 python으로 매우 빠르게 구현 했습니다. 많은 스타트업이 빠르게 구현하기위해 python, django, play등으로 하죠. 저희도 그중 하나 였을 뿐입니다.
스타트업으로 생산성을 놓치지도 않으면서.. 많은 사용자를 감당할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시스템의 구조를 가져가는게 좋을가요? 적은 비용으로 scale out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크게 고심을 해보았고, 가까운 EVA 스터디 팀원들이 모여 이 방법을 찾았습니다.
- 김현종 – 1위까지 올라가본 진격의 1942 for Kakao 의 게임 서버 개발자 (트랜잭션, 결재 등을 담당)
- 황학범 – Trello를 만든 Favorite Medium의 Frontend Engineer
저와 위 두분이 고민끝에 확장하고 어떻게 서비스를 가져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또한 부로 제가 스타트업을 컨설팅하면서 느꼈던 여러 고민들도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14회 JCO에서 여러분을 만나길 기대하고, 위 자료는 마이너하게 더 업데이트 될겁니다. 큰 맥락은 다 담았다고 생각이 드네요.. 회사가 아닌 소마에/ 커뮤니티에 만난 식구들고 이러한 서비스를 만들수 있는 경험을 가진 사람이 얼마나 될까? 기쁜 마음으로 여러분과 지식을 나누고자 합니다.
그날 가긴 하는데 세션 못들어갈 것 같아서 너무 아쉽네요 ㅠㅠ
슬라이드로만 보기에는 너무 아까운 내용인데 말이죠…!
광고라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쉬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